실전에서 강해지는 과학적 트레이닝 전략
복싱은 상대의 움직임을 읽고, 본인의 리듬을 만들고, 강한 체력과 폭발적인 근력이 뒷받침되어야만 링 위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복싱을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드는 질문이 있다.
“복싱과 근력운동을 함께 하면 도움이 될까?”
정답은 ‘된다!’
하지만 방법을 잘못 적용하면 오히려 스피드가 떨어지고, 체력이 부족하고, 무거운 몸 때문에 움직임이 둔해지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오늘은 복싱을 즐기는 일반인부터 실전 스파링을 준비하는 중급자까지, 복싱과 근력운동을 가장 효과적으로 병행하는 전략을 자세히 소개한다.

복싱에 필요한 근력은 ‘헬스에서 말하는 근력’과 다르다
일반 헬스에서 말하는 근력은 무거운 중량을 들어 올리는 힘이다.
그러나 복싱에서 필요한 근력은 조금 다르다.
✔ 복싱에서 필요한 근력 3가지
- 폭발력(Power): 순간적으로 힘을 내는 능력
-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 라운드 내내 기술을 유지하는 능력
- 코어 안정성(Core Stability): 펀치와 회피 동작의 중심 유지
이 세 가지는 단순히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스쾃 무게”를 늘린다고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복싱을 하는 사람은 일반 헬스 루틴을 그대로 따라 하기보다 복싱 특화 근력 루틴을 구성해야 한다.
복싱 선수들은 왜 웨이트를 하는가?
과거에는 복싱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상극이라는 말이 많았다.
하지만 현대 스포츠 과학은 명확하게 말한다.
웨이트는 복싱의 움직임을 더 빠르고 강하게 만들어준다.
✔ 그 이유는?
- 펀치의 원동력인 하체 근력이 증가
- 코어 안정성이 높아져 펀치 전달력이 향상
- 어깨, 등 근육의 지구력 증가 → 후반 라운드 펀치 정확도 유지
- 부상 위험 감소 → 지속적인 훈련 가능
즉, “근육이 붙으면 느려진다”는 것은 잘못된 근력운동을 했을 때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복싱을 위한 최적의 근력운동 구성
아래 루틴은 일반인·취미복싱·아마추어 대회 준비생 모두 적용 가능한 복싱 특화 프로그램이다.
(1) 하체 폭발력 강화 운동
복싱의 모든 움직임은 하체에서 시작된다.
추천 운동
- 스쿼트(중량 60~70%, 3~5회 × 4세트)
- 점프 스쿼트(8~10회 × 3세트)
- 런지 & 런지 점프
- 힙 쓰러스트
- 스텝업(무게보단 스피드 위주)
하체에 힘이 들어가야 펀치가 밀리지 않고 상대를 뒤로 밀어낼 수 있다.
(2) 상체 파워 강화 운동
펀치를 빠르고 강하게 하는 데 필수다.
추천 운동
- 메디신볼 던지기(체스트 패스 / 로테이션 패스)
- 푸시업 변형(클랩 푸시업, 파워 푸시업)
- 케이블 펀치 드릴
- 밀리터리 프레스(과중량 금지)
특히 메디신볼은 펀치 속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3) 복싱에서 가장 중요한 코어 운동
코어는 펀치의 전달력, 회피, 밸런스를 결정한다.
추천 운동
- 러시안 트위스트
- 데드버그
- 플랭크(사이드, 리버스 포함)
- 케이블 우드초퍼
- 회전 스쿼트
코어는 무겁게 하는 것보다 많은 반복으로 안정성과 회전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4) 근지구력 강화를 위한 서킷 트레이닝
근지구력이 너무 부족하면 2~3라운드만 지나도 팔이 무거워지고 펀치가 흔들린다.
추천 구성(3~4라운드 반복)
1분: 버피
1분: 스피드 푸시업
1분: 메디신볼 슬램
1분: 바디스쾃
1분: 샌드백 ‘빠르게 치기’
라운드 제한이 있는 복싱 특성상 시간 기반 서킷이 매우 효과적이다.
복싱 + 근력운동 주간 루틴(예시)
✔ 주 3회 복싱 + 주 2회 근력운동
월: 복싱
화: 근력
수: 복싱
목: 휴식
금: 복싱
토: 근력
일: 휴식
✔ 복싱을 주로 하는 사람에게 추천 루틴
- 복싱 훈련 후 → 가벼운 근지구력 웨이트
- 근력운동 하는 날 → 복싱 기술훈련은 최소화
포인트는 같은 날에 ‘고강도+고강도’를 붙이지 않는 것이다.
복싱에서 금지해야 할 웨이트 3가지
복싱과 병행 시 오히려 좋지 않은 근력운동이 있다.
❌ 과도한 대근육군 중심의 보디빌딩 루틴
벤치 위주, 광배 넓히기, 과도한 펌핑 중심 루틴은
스피드와 유연성을 저하시킨다.
❌ 무게만 올리는 1RM 위주의 훈련
복싱은 “순간 폭발력+지구력”이 중요하며
최대 중량 훈련은 불필요한 피로를 축적한다.
❌ 어깨를 과도하게 고립시키는 운동
과한 사레레(사이드 레터럴 레이즈), 프런트 레이즈는
어깨의 피로와 부상 위험을 높인다.
근력운동을 하면 스파링이 강해지는 이유
- 펀치의 임팩트 증가
- 상대에게 밀리지 않는 중심축 형성
- 라운드 후반 펀치 정확도 유지
- 몸의 안정성이 높아져 공격을 맞아도 흔들림 감소
- 스텝에 추진력 증가
즉, 체급보다 더 강한 타격을 가지는 비결은 섬세한 기술 + 폭발적인 근력의 조합이다.

복싱과 근력운동을 한 번에 잘하는 핵심 공식
✔ 기술(복싱) 70% + 근력 30%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황금 비율이다.
✔ 무겁게 보다 빠르게(Weight → Speed)
복싱에서 근력은 ‘속도’와 ‘파워’로 연결되어야 한다.
✔ 무조건 ‘전신’ 위주
고립 운동보다 복합·전신 운동이 훨씬 효과적이다.
마무리하며... 복싱과 근력운동은 최고의 조합이다
복싱을 오래 하고 싶고, 스파링에서 밀리지 않고,
주먹이 더 빠르고 강해지고 싶다면 반드시 올바른 방식의 근력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잘못된 웨이트는 스피드를 떨어뜨리지만
올바른 웨이트는 스피드를 증가시키고 파워를 폭발적으로 만든다.
복싱이 단순히 ‘유산소’라고 생각했다면,
이제는 ‘근력과 유산소가 결합된 최고의 스포츠’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복싱 #복싱운동 #복싱근력운동 #스파링 #복싱피트니스 #폭발력훈련 #근지구력 #복싱루틴 #근력운동 #복싱기초 #복싱다이어트 #복싱스파링 #운동루틴 #격투기운동 #복싱팁 #헬스루틴 #파워트레이닝 #체력훈련 #복싱 잘하는 법